7주 동안 진행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읽기의 대장정을 마치고자 합니다.감히 대장정이란 표현을 쓴 이유가 있습니다.거의 두 달에 가까운 기간 동안 끊임없이 충격과 혼란의 폭탄을 던지는 아포리즘의 문장들을 읽고 소화하기가 마치 길고 험준한 산맥을 타고 넘는 것처럼 느껴졌기 때문입니다.짐작컨대 중간에 읽기를 포기하고 제가 올린 요약 글을 읽는 것으로 자위한 분들도 없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하지만 너무 자책하지 마시기 바랍니다.모든 위대한 책들은 단 한 번의 만족스런 완독을 허용하지 않으니까요.
저 자신 무수히 많은 시도와 실패의 경험이 있음을 실토합니다.저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읽기의 첫 시도는 중학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세상과 책에 대한 호기심이 강했던 저는 어느 날 집 책장에 꽂혀 있는 이 요상한 제목의 책을 발견하고는 무작정 꺼내 읽었습니다.하지만 그때 저의 호기심은 딱 두 페이지까지였습니다.도저히 무슨 얘기를 하는지 알 수 없는 책을 덮으며 저는 언제 제대로 읽고 이해하는 날이 올까 생각했습니다.그로부터 거의 반세기 가까이 지나,그러니까 회갑을 넘긴 나이에 비로소 완독이라는 고지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선생님들과 함께 재독의 기쁨을 누리게 되었습니다.하지만 책을 얼마나 제대로 읽었느냐는 질문 앞에 서면 여전히 아쉬움이 밀려옵니다.읽으면 읽을수록 제 사유의 얄팍함을 실감할 뿐입니다.다음에 또 읽게 되면 좀 더 깊은 사유의 바닥까지 내려가지 않을까 기대합니다.차라투스트라 읽기에 도전하신 전사 선생님들께 다시 당부 드립니다.다 읽지 못했다고,제대로 읽지 못했다고 실망하지 마시기 바랍니다.니체가 그토록 강조한 ‘도전의 용기’를 잃지 않는 한 다음에는 이 심원한 메시지의 문장들에 가슴 뛰는 전율을 더 많이 느끼리라 믿습니다. (전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