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학당 재능 기부 프로젝트, <책통아> 21기 마감 임박! <책으로 세상과 통하는 아이들> 21기 마감 임박
숭례문학당의 재능 기부 프로젝트로 운영되는 '책으로 세상과 통하는 아이들의 모임' <책통자 아이들> 21기 수강생 모집이 오는 2월 12일(일) 마감합니다.
<책통자 아이들>의 읽기(Reading), 쓰기(Writing), 말하기(Speech) 프로그램은 성적 향상만을 꾀하거나 문제풀이형 사교육이 아닙니다. 아이들이 책에 재미를 붙이고, 자신의 생각을 바로 세우고, 그것을 말과 글로 표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신나는 일인지 경험하는 과정입니다.
<책통자 아이들>의 운영 목표는 훌륭한 인성으로 성장하는, 창의력과 상상력이 뛰어난 아이입니다. 아이들이 건강한 민주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소양을 키우는 과정입니다. 혼자만의 성공이 아니라 함께 공부하고, 친구의 가치를 공유하고 싶은 학생(학부모)들의 많은 지원을 바랍니다. ( 함께 보기 )
|
|
|
시인 이원하 초청 북토크… <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
숭례문학당이 시인과의 만남을 마련했습니다. 시와 가까워지는 자리에 독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첫번째로 만나는 시인은 <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의 이원하입니다.
나는 제주에 사는 웃기고 이상한 사람입니다
남을 웃기기도 하고 혼자서 웃기도 많이 웃죠
이원하의 시는 이렇게 자신을 소개합니다. '나에게 바짝 다가오세요'라며 대범해지기도 하고, '나의 정체는 끝이 없어요'라며 능청스러워지기도 하는 시. 섬에 혼자 살고 술은 약한 어떤 이의 귀여운 편지에서 발견할 법한 단어와 감정으로 이루어진 시들. 미용고를 졸업해 미용실 스태프로도 일하고, 영화 <아가씨>에 보조 연기자로 출연하기도 한 시인의 이력처럼, 시인의 시는 낯설고 새롭습니다. 새로운 시를 기다려온 많은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시인 이원하의 이야기 시간에 여러분의 귀한 발걸음을 기다립니다. ( 함께 보기 )
|
|
|
강신주의 <철학 VS 철학>… [서양편] 함께 읽기
강신주는 기존의 철학사 서적들이 대부분 방대하면서도 읽기에는 재미가 없고 편협하기까지 해 철학 공부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린다고 말합니다. <철학 VS 철학>은 아카데미즘에 매몰되길 거부하는 강신주가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전개 형식으로 쓴 책입니다.
<철학 VS 철학> 서양 편에는 모두 33개의 철학적 질문이 등장합니다. 이 각각의 질문이 하나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구성된 장마다 저자는 질문에 상응하는 핵심 철학자 두 명을 대립시켜 그들의 관점을 설명합니다.
한 개의 장은 대체로 20 페이지 내외로 구성되어 하루 한 편씩 읽기에 적당합니다. 이렇게 33개 주제의 장을 매일 하나씩 읽다보면 어느새 우리는 철학의 주요 이슈를 꿰뚫으며 생각의 깊이를 더하는 성취감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번 <철학 VS 철학>의 서양 편을 통해 보다 많은 철학자들과 친숙해지고 그들에 대한 공부의 자신감을 얻기 바랍니다. ( 함께 보기 )
|
|
|
말하기 좋은 시간… <책 모임의 말하기> (입문과정)
책 모임은 말하기를 연습하기 좋은 시간입니다. 말수가 적은 사람은 듣기만 해도 좋고, 말하기에 서투른 사람도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말하기가 뜻대로 풀리지 않아 고민인 사람이 많습니다. 말을 편하게 하고 싶지만 순서만 되면 긴장이 된다고 합니다. 발표할 내용을 메모하고 미리 연습을 해도 막상 말을 하면 표현이 잘 안 된다고 합니다. 책 모임은 좋은데 말하기는 어려운 분을 위해 <책 모임의 말하기 – 입문 과정>을 마련했습니다.
이 수업은 ▲책 읽은 소감을 편안하게 표현하는 방법 ▲책을 읽으며 떠오른 질문을 정리하는 과정 ▲책 모임 논제에 대해 간결하게 말하는 연습 ▲막연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는 습관 ▲장황한 말을 간결하게 정리하여 핵심을 짚어내는 과정 ▲다른 사람의 생각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노력 ▲중구난방 횡설수설 말하기를 정리된 내용으로 전달하는 연습을 합니다. 책 모임 뿐 아니라 말하기 전반에 두려움이 큰 분도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기 )
|
|
|
고치고 다듬으며 만드는 훌륭한 문장… <작가처럼 쓰기> (괴테 편)
작가처럼 쓰고 싶지만 어렵습니다. 어떻게 연습해야 좋을까요? 가장 쉽고, 재미있고, 실용적인 글쓰기 방법으로 <작가처럼 쓰기>를 제안드립니다. 책 <필사 문장력 특강>(북바이북)에 나오는 필사와 작문 기법을 기반으로 작가들의 명문장을 곱씹어 필사하고 작문까지 점프하는 문장력 향상 수업입니다. 제자리걸음 문장력으로 고민하는 중이라면 바로 신청하세요.
이번에는 독일 문학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린 작가, 요한 볼프강 폰 괴테를 만납니다. 괴테는 대표작 <파우스트>를 60년에 걸쳐 썼습니다. 위대한 작가라도 처음부터 잘 쓰는 게 아니라 수없이 고치고 다듬으면서 훌륭한 문장을 만듭니다. 이 수업에서는 괴테의 주요 문장을 곱씹고 필사합니다. 구조와 의미를 파악할 때까지 문장을 관찰합니다. 겉핥기로 책을 읽는 습관도 자연스레 정독으로 바뀌게 됩니다. 내용만 쫓아가기 급급했던 독서가 문장 관찰로 이어집니다. 글 보는 안목이 향상됩니다. 괴테의 문장 형식을 이용하되 내 글감을 가지고 글쓰기를 합니다. ( 함께 보기 )
|
|
|
아름다운 클래식 선율과 함께하는… <음악 에세이 - 클래식 365>
세상에는 다양한 장르와 느낌, 멜로디와 형태의 음악이 있고, 그중에는 오랫동안 사랑받았던 클래식이 있습니다. 클래식 음악이 좋다는 건 알지만 막상 제대로 들어보려고 하면 어떤 곡부터, 어떻게 들어야 하는지 난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음악가와 음악 이론을 제대로 알고 들어야한다는 부담감도 있습니다. 하지만 음악은 결국 듣는 자, 향유하는 자, 느끼는 자에게 서로 다른 표정으로 찾아와 각각의 빛을 발하는 존재 아닐까요?
<음악 에세이-클래식 365>는 매일 서로 다른 음악가의 클래식 곡을 듣고 떠오르는 감정이나 단상을 글로 써보는 모임입니다. 혼자 들으면 가볍게 지나쳐버릴 멜로디가, 기록하며 나누는 시간을 거치며 우리의 내면을 더욱 풍부하게 가꿔줄 것입니다. 하루 한 스푼, 아름다운 클래식 선율을 가슴으로 담고 함께 나누는 여정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 함께 보기 )
|
|
|
실용 글쓰기… <어린이 / 청소년 서평 글쓰기> (겨울방학 특강)
왜 독후감이 아니라 서평일까요? 독후감조차 어려워하는 어린이/청소년들에게 서평이라뇨! 마냥 멀게만 느껴진다면 걱정은 내려 놓으세요. 40분. 논리적, 객관적 서평 쓰기 방법을 쉽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뚝딱 한 편을 쓰는 수업입니다.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어린이와 청소년, 책과 멀기만한 어린이/청소년 모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책으로 서평을 쓸 수 있습니다. 함께 읽을 책은 한 권 뿐이니 부담 없이 할 수 있습니다. 숭례문학당에서 오랜 시간 서평을 써온 조혜원, 우신혜 강사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실용 글쓰기 수업을 준비했습니다. ( 어린이 함께 보기 ) ( 청소년 함께 보기 )
|
|
|
북클럽의 달인이 되는 길… <온라인 책 모임 잘하는 법> 특강
책 <온라인 책 모임 잘하는 법>의 저자 4인이 기획한 특별한 강의에 독자들을 초대합니다. 네 번의 강의안에 온라인 책 모임 잘하는 방법을 짜임새 있게 구성했습니다. 이 강좌를 수강하는 분들은 비대면 북클럽의 달인이 되는 길에 탑승하게 됩니다. 아직 온라인 책 모임을 시작하지 않은 분도 환영합니다. 오랜 시간 책 모임을 해온 네 명의 작가들이 솔루션을 제공하고, 다양한 경험을 들려드립니다.
이 수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각 작가들의 개성이 주는 향연입니다. 각자의 관심사와 경험을 살려 토론하기 좋은 책들을 세부적으로 큐레이션하여 제공해드립니다. 어떤 책으로 책 모임을 해야 잘 될까 고민이었던 분은 좋은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책 모임을 해왔던 작가들의 처방전은 향후 책 모임 운영자가 되고 싶은 분에게도 하나의 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책 모임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이나 안좋은 기억이 있다면, 이번 수업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바쁜 일상에서 책 읽을 시간이 부족하거나, 책 모임을 시작할 계기를 찾는 분들dp게 이 수업을 추천드립니다. ( 함께 보기 )
|
|
|
2023년 2월-3월 모임/강좌 일정 안내
숭례문학당과 함께하는 읽고, 쓰고, 토론하는 삶 ─ 아래 <상세 보기>를 클릭하시면 2023년 2월과 3월에 진행되는 주요 모임/강좌 일정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