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 주간에 걸친 강신주의 《철학 vs철학,동양 편》 함께 읽기 대장정을 마쳤습니다.한여름 무더위 속에서 두꺼운 철학사를 읽고 발췌와 단상을 올리느라 선생님들 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뿌듯함과 더불어 아쉬움도 크리라 생각합니다.아쉬움이 있더라도 자책까지는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방대한 동양 철학의 역사를 한 번 읽고 다 소화하기란 애당초 불가능한 일이니까요.바쁜 일상 속에서 생각을 자극하는 철학적 질문들에 온전히 빠져들기란 더더욱 힘들었을 것입니다.세상사 모든 일이 그렇듯이 한술에 배부를 수 없습니다.철학 공부의 끈을 놓지 않는다면 지금의 작은 노력들이 차곡차곡 쌓여 언젠가 인생의 든든한 지양분이 되어줄 것입니다.
이번 동양 편 33장 읽기를 통해 선생님들은 무엇을 얻고 느끼셨나요?방대한 동양 철학사를 주마간산 격으로 요약해 봅니다.동양 철학의 원조는 두 나라,즉 인도와 중국입니다.고대 인도에는 범아일여(梵我一如)의 베다신앙이 존재했었고,이에 맞서 무아(無我)를 주창한 싯다르타의 불교가 생겨났습니다.불교는 이후 다양한 논쟁과 파벌을 형성하였는데,이 중 중국에 전파된 것은 대승 불교였습니다.한편,고대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는 이른바 제자백가에 의한 사상의 백가쟁명과 실험이 활발히 전개되었습니다.하지만 그 뒤 왕조 시대를 거치면서 살아남은 철학은 유교와 불교와 도교,즉 유불선 삼교입니다.(전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