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글이라도 매일 써보라”
많은 작가들은 글을 잘 쓰고 싶다면 그저 ‘꾸준히 쓰는 것’이 답이라고 말합니다. 잘 쓰기 위해서는 일정 분량을 지속적으로 써내는 근성을 먼저 키워야 합니다. 글을 쓰면서 치열하게 고민하는 과정을 통해 사유와 필력은 굳게 다져지고 정교해지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글쓰기에 재능 있는 사람이라도 계속 쓰지 않으면 재능은 사그라지고 맙니다.
오랫동안 미국 하버드대학의 글쓰기 프로그램을 이끌어온 낸시 소머스 하버드대 교육대학원 교수는 “강의 듣고 시험 잘 쳐서 대학 졸업할 수도 있지만 그런 사람은 평생 '학생' '관찰자' 위치를 벗어날 수 없다”면서 “졸업 후 자기 분야에서 진정한 프로가 되려면 글쓰기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가 제시한 글쓰기 비법 가운데 한 가지는 “짧은 글이라도 매일 써보라”는 것입니다. “하루 10분이라도 매일 글을 써야 비로소 '생각'을 하게 되지요. 어릴 때부터 짧게라도 꾸준한 읽기와 쓰기를 해온 학생이 대학에서도 글을 잘 쓰더군요.”
하지만 혼자 꾸준히 쓰는 것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닙니다. 처음엔 의욕에 넘쳐 열심히 쓰지만 이내 벽에 부딪쳐 좌절하다가 포기해버립니다. 글감 부족, 자기 검열 등 저마다 이유도 다양합니다. 이 장벽을 극복하는 묘안은 없을까요? 여기 그 대안이 있습니다. 바로 온라인 <100일 글쓰기>입니다. 글을 쓰고 싶은 사람들이 모여 일정 분량의 글을 100일 동안 쓰는 모임입니다.
‘글을 쓰겠다’는 큰 목표를 향해 함께 고민하고 쓰기 때문에 서로의 글에 공감하고 용기와 격려를 나눕니다. 생각, 관심분야, 쓰고 싶은 글도 다양하기 때문에 100일 동안 다름을 확인하고 내 관점도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내 생각을 자유롭게 문장으로 표현할 때, 글쓰기 실력도 자연히 좋아집니다. 혼자가 아니라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100일 동안 매일 자정 내에 글을 올리면 미션 완료! 글쓰기 분야, 주제, 형식 모두 자유입니다. 남과 비교할 필요도 없습니다. 내 경쟁상대는 타인이 아니라 ‘과거의 나’입니다. 100일째 되는 날, 과거에 쓴 내 글과 비교해보세요. 가랑비에 옷 젖듯, 천천히 글쓰기에 자신감이 붙을 것입니다. 자기 검열과 타인 의식, 당장 잘 쓰고 싶다는 욕심을 내려놓고 글쓰기의 자유를 즐겨봅니다. (전체보기)